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전면적인 관세 정책 전후 세계 수출 물동량에 단기적인 급변동이 나타난 것이 실증분석으로 확인됐다.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미 관세 정책 이후 세계 수출 물동량 변화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2기의 관세 정책 발표 직후 1주일간의 관세 회피 목적의 선수출 수요로 세계 수출 물동량 증가폭이 25.9%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실제 관세 시행 후 1주일간 물동량이 20.8% 감소하며 선수출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이는 미국의 8대 수입대상국(중국, 캐나다, 멕시코, 독일, 일본, 대만, 베트남, 한국) 항만의 일간 대세계 출항 물동량 전수데이터를 활용해 트럼프 관세 정책의 16개 발표 시점 및 11개 시행 시점의 단기적인 세계 수출 물동량 변화를 실증 분석한 결과다.
보고서는 이러한 물동량 변화는 단기적이고 제한적이지만, 올해 2~3월처럼 관세 정책이 집중된 시기에는 영향이 누적될 가능성도 있다고 봤다. 특히, 관세 발표부터 시행까지의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았기 때문에 신규 생산보다는 기존 재고의 이동이 주를 이룬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보고서는 미국의 관세 조치가 단기적으로 세계 수출 물동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지만, 세계 수출과 미국 수입은 시기와 수요에 따라 상이한 흐름을 보였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이 후보 시절 관세 부과 가능성을 언급한(‘24/10/25) 이후부터 당선과 취임(‘25/1/20) 전까지 세계 수출 물량은 전례 없는 관세 불확실성으로 3개월 연속 감소한 반면, 같은 시기 미국 수입은 급증했다.
반면에, 상호관세 90일 유예(4/2)와 10% 보편관세(4/9)가 시행된 4월 이후, 미국은 수입 수요가 위축되며 월 2% 미만으로 성장세가 둔화되었으나, 세계 수출 물량은 오히려 증가했다. 이는 미국의 전방위적인 관세 정책을 피해 미국 외로 수출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는 방증이다.
[ⓒ 코리아포워더타임즈 & parcelherald.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NEW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